본문 바로가기

인생리뷰

[반도체 면접 준비] 2-2. 반도체 PT면접 기출 및 모범 답안 _ 현직자가 알려주는 삼성전자,SK하이닉스 면접 합격을 위한 예상문제 가이드북

면접 시즌인 반도체 대기업

안녕하세요 인생리뷰입니다.

오늘은 반도체 PT면접 기출에 대해서 알아보죠.

반도체 PT면접에 자주 나오는 3가지 질문 중 2번에 대한 답변을 살펴보겠습니다.

DRAM과 SRAM의 차이는 무엇일까요?

바로 보시죠!

 

(↓ Metal Line으로 Al 대신 Cu를 쓰는 이유)

 

[반도체 면접 준비] 2-1. 반도체 PT면접 기출 및 모범 답안_ 현직자가 알려주는 삼성전자,SK하이닉

안녕하세요 인생리뷰입니다. 오늘은 반도체 PT면접 기출에 대해서 알아보죠. 반도체 PT면접에 자주 나오는 3가지 질문에 대한 답변을 살펴보겠습니다. 바로 보시죠! (↓↓↓ 반도체 기초지식 :

life-review-200822.tistory.com

[반도체 PT면접 기출문제]

1. 최근 Metal Line 배선을 Al 대신 Cu를 쓰는 이유

2. DRAM과 SRAM의 차이

3. DRAM의 Capacitance를 늘려야 하는 이유와 방법

 

Q. DRAM과 SRAM의 차이

 

A. 이름에서부터 둘 간의 대표적인 차이점을 알 수 있습니다.

 

Dynamic Random Access Memory (DRAM)

 : 역동적 (Dynamic)이다 라는 것에서 활발한 아이의 모습이 떠오르는데, 여기서 역동적인 것은 0,1의 data가 변하는 것을 막기 위해 주기적인 Refresh 동작을 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.

 백조 같은 느낌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. 백조는 평온한 모습으로 물에 떠 있는데 발로 헤엄치듯이 DRAM의 data는 일정해 보이지만 그를 위해 CAP의 Refresh를 주기적으로 해주죠 (역동적으로!)

 

 - 구조 : 1ea Transistor + 1ea Capacitor (1T1C)

 - 1,0의 data를 Capacitor 안에 저장 (Cap이 채워진 정도로 1과 0을 구분합니다)

 - Cap의 경우 전하가 빠져나가기 때문에 주기적인 Refresh가 필요

 

Static Random Access Memory (SRAM)

 : 정적 (Static)이다 라는 것에서 아주 조용한 느낌이 드시나요? SRAM의 경우에는 Latch 구조에 data를 저장하기 때문에 data를 저장하고 그냥 가만히 있어도 1,0의 data가 유지됩니다.

 

- 구조 : 6ea Transistor (6T) : Latch구조를 위한 4개의 Tr과 Latch에 저장되는 data를 바꿔주는 역할을 하는 2개의 Tr

- 1,0의 data를 Latch구조에 저장

- 1,0의 data가 계속 Latch 구조 안에 저장됨 = Refresh 필요 없음

 

위와 같은 구조적인 차이를 지니고 있는 DRAM과 SRAM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좀 알아둬야겠죠?

 

DRAM의 장점

- 집적도가 높고, 비용이 낮음

- 전력 소비가 낮음

 

DRAM의 단점

- SRAM에 비해 SPEED가 느림

- 주기적인 Refresh 필요 (CAP의 방전 때문)

 

SRAM의 장점

- High Speed

 

SRAM의 단점

- 집적도가 낮음 (6ea Tr 구조여서)

- 전력 소모가 크다.

 

위와 같은 이유로 DRAM과 SRAM은 각각 다른 위치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.

DRAM의 경우는 SRAM보다는 더 고용량으로 Main Memory로 사용되며, SRAM의 경우 좀 더 High Speed가 요구되는 Process의 Cache Memory로 사용됩니다.

 

DRAM과 SRAM 비교

 

오늘은 반도체 PT면접 기출문제 2번

DRAM과 SRAM의 차이에 대한 글이었습니다.

많은 반도체 회사 취준생분들께 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

그럼 다음에는 DRAM의 Capacitance를 늘려야 하는 이유와 그 방법으로 돌아오겠습니다.